티스토리 뷰
목차
국민연금 수령을 앞둔 분들이 가장 혼란스러워하는 것은 ‘언제 받는 게 유리한가?’, 그리고 **‘소득이 있으면 연금이 줄어드나?’**입니다. 이와 관련된 핵심 이슈들을 정리해드릴 테니, 은퇴를 앞둔 분들, 부모님의 연금 설계를 돕는 분들은 반드시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✅ 국민연금 감액 기준: 월 400만 원 이상이면?
64세 이상 국민연금 수급자가 월 소득이 약 400만 원 이상이면 연금이 감액됩니다.
- 기준 금액: 월평균 소득 약 300만 원 이상 (근로소득 기준 약 400만 원 이상)
- 감액 비율: 최대 50%까지, 기간은 5년간
- 월 400만 원 수준에서는 감액 거의 없음 → 월 500~600만 원 이상부터 본격적인 감액 발생
➡️ 대안: ‘연기연금’ 활용
소득이 있어 감액될 것이 걱정된다면 연금을 5년간 연기할 수 있습니다.
- 연기 기간 동안 소득은 자유롭게 벌 수 있음
- 연금을 받지 않음으로써 감액도 없고, 오히려 연금액이 증액됨
- 이후 수령 시 평생 인상된 금액 수령 가능
✅ 건강보험 피부양자 탈락 기준: 연금도 포함!
국민연금 수령액이 연 2,000만 원을 초과하면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이 박탈됩니다.
- 연금 외에 소득이 없더라도 2천만 원 초과 시 건보료 직접 납부
- 피부양자 유지하려면 수령액을 1,900만 원 이하로 조정해야 함
- 다만, 연금은 물가상승률에 따라 자동으로 인상 → 다음 해 초과 가능성 있음
✔ 조정할 바에야 확실한 전략 세워야! 애매하게 조정해봤자 다음 해에 기준 넘으면 의미 없음
✅ 국민연금 19년 vs 20년 가입 차이는?
- 본인이 받는 연금액 차이는 거의 없음 (1년치 추가만 적용)
- 유족연금 수령 시 차이 발생
- 19년 가입: 유족연금 50%
- 20년 이상 가입: 유족연금 60% 지급
➡️ 가족을 위한 연금 설계라면 20년 채우는 것이 유리
✅ 상계 월수로 본 납입 효율: 144개월이면?
- 상계월수란? 낸 원금을 연금으로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
예) 1,000만 원 납부 → 월 10만 원 수령 → 100개월 필요 - 144개월이면 12년 이상 필요 → 살짝 애매한 구간
- 120개월 이하: 유리
- 160개월 이상: 비효율적
- 144개월: 조건에 따라 다름 → 다른 소득, 유족연금 가능성 등 고려 필수
✅ 연금 조기 수령? 연기 수령?
- 조기 수령: 연금이 줄어들지만 먼저 받기 때문에 단기 자금 확보 가능
- 연기 수령: 당장 돈은 못 받지만, 장기적으로 수령액 증가
조기 수령 조건
- 소득이 연 3,600만 원 이상이면 조기 수령 불가
➡ 연기 수령 추천 상황
- 당장 소득이 있음
- 자금 여유가 있음
- 기대수명이 평균 이상 예상되는 경우
✅ 연금 납부, 가족이 대신해도 될까?
- 부모가 자녀 대신 납부 가능
- 공식적으로는 증여에 해당하지만, 국민연금 보험료는 증여세 비과세
- 국가도 알고 있지만 별도 세금 부과 없음
→ 안심하고 납부 가능
✅ 부부 연금 설계: 내 연금이 더 중요할 수 있다!
- 남편 국민연금이 크고 아내 연금이 작다면?
→ 아내는 유족연금 30% 정도만 받게 됨 - 아내가 본인 연금 충분히 쌓아두면 유리
→ 유족연금보다 본인 연금이 장기적 혜택 더 큼
※ 유족연금 받는 중엔 재혼 불가
→ 내 연금이면 재혼해도 계속 수령 가능
마치며
국민연금은 단순히 “나이 되면 받는 돈”이 아닙니다. 수령 시기와 소득 조건, 건강보험과의 관계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진짜 '내게 유리한 연금'을 만들 수 있습니다. 특히 감액되는 시기에는 연기를, 조기 수령할 경우는 소득 기준을 꼭 확인하세요.
그리고 무엇보다 부모님의 연금 설계나, 내 노후 재정계획을 세우실 때 위 내용을 꼭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.
'국민연금 총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연금 납부액,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 (0) | 2025.07.04 |
---|---|
국민연금 보험료 인상부터 청년 정책까지,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국민연금 변화 정리 (0) | 2025.07.04 |
2025년부터 달라지는 장애 연금 제도 핵심 요약 (0) | 2025.07.03 |
국민연금 수령과 건강보험 · 세금 · 기초연금과의 관계 정리 (0) | 2025.07.03 |
국가유공자 유족연금 상속조건과 지급액 총정리! (0) | 2025.07.02 |
국민연금 설계 전략 (0) | 2025.06.18 |
국민연금 감액제도와 세금 증가의 이중 부담 (0) | 2025.05.12 |